|
|
[악기를 만드는 나무들] #1. 대나무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5-01-27 10:00 )
|
대나무는 자람부터 독특하다. 땅속의 뿌리줄기(지하경)에서 죽순이 나와 두 달이면 거의 다 자라 버린다. 시간당 2~3cm, 하루 70~80cm까지 자란다는 기록도 있다. 하지만 대나무가 단단해지는 데는 리그닌(lignin)이라는 물질이 세포벽 속에 쌓이는 시간... Tag: 국악누리
|
|
[삼자대면] 소리 앞에 마주 앉은 마음 - 고수영, 김영은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5-01-20 15:28 )
|
국립국악원 정악단에 근무하는 고수영과 김영은에게는 공통의 성정이 흐른다. 끝없는 호기심, 배우는 태도,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 같은 것들. 탐구와 성찰을 멈추지 않는 이들은 공연이 끝난 뒤에도 해금 연주자로서 정악단의 소리를 만든다. 일상을 가꾸는... Tag: 국악누리
|
|
[전통 공연 예술 복식] #1. 처용무 복식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5-01-14 10:00 )
|
처용무의 기원과 의미 새해가 밝았다. 우리 모두 올 한 해도 평안하고 복된 한 해가 되길 기원한다. 이럴 때 적당한 정재가 처용무(處容舞)가 아닐까? 처용무는 신라 헌강왕 때에 발생한 처용 설화에 기원을 둔 향악 정재의 하나로, 다섯 명의 무용수가 처... Tag: 국악누리
|
|
미래로 넓어지는 세계 - 가야금·아쟁 명인 백인영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2-16 15:32 )
|
완연한 가을을 지나 겨울을 맞이할 무렵이면 언제나 선생님이 생각납니다. 정확히는 선생님의 음악을 듣게 된다는 표현이 맞겠네요. 아니 선생님의 생전 모습이 담긴 공연 영상을 찾아본다는 표현이 더 정확하겠습니다. 이 편지를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 Tag: 국악누리
|
|
합창과 관현악: 하나의 숨결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2-09 17:20 )
|
[국악누리] 국악 관현악의 세계 합창과 관현악: 하나의 숨결 합창과 관현악의 결합은 음악의 영역을 넘어서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결합은 인간의 목소리와 인류가 만든 악기들이 서로 어우러져 하나의 완전한 조화를 이루는 순간을 보... Tag: 국악누리
|
|
신神의 이름으로 여는 삶의 잔치 - 경기 도당굿 시나위춤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2-02 10:00 )
|
굿판은 재미있다. 흥겨운 춤과 음악이 있고, 맛있는 음식도 있으며, 무엇보다 신(神)과 사람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공연을 관람하다 거기에 참여하기도 하고, 경건하게 기도하다 때로는 수다를 떨기도 한다. 굿은 종교적, 예술적 체험이자 흥미로운 ... Tag: 국악누리
|
|
[국립국악원 송년공연 나례] 송년나례 100% 즐기기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1-25 13:38 )
|
나례는 무엇일까? 나례(儺禮)란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 의하면 ‘가면을 쓴 이들이 주축이 되어 일정한 규식(規式)에 의거해 구귀축역(驅鬼逐疫)하는 주술적 벽사(辟邪)의례’라고 한다. 나례는 궁중과 관아, 민간에서 행해 온 섣달 그믐밤의 의식으로, 한 ... Tag: 국악누리
|
|
[학예연구사가 들려주는 국악이야기] 다시 보는 종묘제례악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1-28 15:45 )
|
종묘제례악은 조선 시대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연행하던 노래와 음악, 춤 일체를 말합니다. 매년 종묘에서 5월 첫째 주 일요일에 연주가 됩니다. 1964년에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고, 2001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 Tag: 학·들·국
|
|
알고 들으면 재미있는 우리 노래 - '아재 개그'의 기원을 찾아서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1-18 14:32 )
|
알고 들으면 재미있는 우리 노래 '아재 개그'의 기원을 찾아서 - 판소리 흥보가 중 '화초장 타령', 수궁가 중 '범 내려온다' - 2024년이 어느덧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연말, 직장인들에게 숙명 같은 시간이 기다리고 있죠. 바로 ‘회!식!’. 벌써부터 ... Tag: 국악누리
|
|
'노래하다'와 '노력하다' 사이의 가객, 국립국악원 정악단 조일하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1-11 09:51 )
|
1995년 입단 후 부수석, 수석을 역임한 조일하(1966~)는 국립국악원 정악단 지도단원으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와 용인대 대학원에서 수학했으며, 2003년 KBS국악대상(가악상),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등을 수상했다. 너무나 무더웠던 7월, 국립국... Tag: 국악누리
|
|
[학예연구사가 들려주는 국악이야기]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1-03 10:00 )
|
국립국악원은 신라 음성서, 고려 대악서, 조선 장악원으로 국가 음악기관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속에서도 ‘이왕직아악부(이하 아악부)’가 전통음악 전승의 단절 위기를 극복하고 오늘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아악부는 1919년 아악생양성... Tag: 학·들·국
|
|
이렇게 불러봐요, 창작국악동요 - ♬십이지 동물과 얼쑤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1-04 11:11 )
|
이렇게 불러봐요, 창작국악동요 ♬십이지 동물과 얼쑤 작사: 김영경, 이수영 / 작곡: 김영경 / 편곡: 송정 2022 창작국악동요 작품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작 연말이 다가오면 우리는 다음 해의 공휴일 횟수를 헤아리는 일과 더불어 어떤 동물의 해인지에 ... Tag: 국악누리
|
|
[학예연구사가 들려주는 국악이야기] 초입문금보初入門琴譜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1-07 10:00 )
|
『初入門琴譜(초입문금보)』의 편저자는 미상이며, 편찬 연대에 관해 장사훈(1916-1991)은 고종대로 추정하고 있다. 거문고 악보 및 이론을 담고 있으며, 악보 끝에는 양금 구음으로 기보된 영산회상(靈山會上, 현행 상령산) 양금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수록 ... Tag: 학·들·국
|
|
이렇게 불러봐요, 창작국악동요 - ♬너에게 줄게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0-21 13:54 )
|
동요는 민요의 한 갈래이다. 민요는 민중들 사이에서 생겨나 그들의 삶 속의 노동, 놀이, 의식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전승되는 노래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민요는 작사자나 작곡가가 알려지지 않았으며, 악보와 그 노랫말이 문자로 기록되지도 않은 채 여... Tag: 국악누리
|
|
[학예연구사가 들려주는 국악이야기] 『세종실록 악보』와 ‘6대강(16정간)’ - 2
( 국립국악원 공식 블로그 | 24-10-24 10:00 )
|
https://blog.naver.com/gugak1951/223623019762 두 번째, 대강 없는 32정간의 세종악보에 16정간(6대강)과 8정간(3대강)이 드러나는 증거는 바로 ‘용비어천가’의 권점 중 구두점이다. <치화평>과 <취풍형>의 가사는 ‘용비어천가’(한글... Tag: 학·들·국
|
|